Processing math: 100%

프로그래밍 언어/python

[python 기초 1] 변수와 연산자

이현찬 2023. 2. 27. 22:06
728x90

python은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했던 것과 같이 다양한 application에서 사용되고 배우기 쉬운 언어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것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수의 개념을 익히는 것에서 시작된다. 이번 포스팅에서 변수의 개념과 자료형의 종류에 대해 설명한다.

변수 Variable

python에서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등호=가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데 사용이 된다. CJAVA와 같은 언어와 달리 사전에 자료형을 선언할 필요 없이 할당하는 순간 자동으로 데이터의 타입이 결정된다.

x = 5

위의 한줄의 코드로 x라는 변수에 5라는 정수값을 할당했다.

자료형 Data Type

python은 몇 가지 built-in data type을 가진다. 그 종류는 정수형, 실수형, 문자열, boolean을 포함한다.

Type Description Example
Integers 정수형 데이터 타입의 숫자 x = 5
Floats 실수형 데이터 타입의 숫자 x = 3.14
Strings 하나 이상의 문자로 이루어진 sequence로 따옴표(')나 쌍따옴표(")로 감싸 표현한다. greets = 'hello'
Booleans 참/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True/False is_ok = True

연산자 Operators

연산자의 카테고리는 크게 7가지로 구분된다. 산술 연산자, 할당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멤버십 연산자, 비트 연산자가 그 종류이다. 필수적인 연산자로 몇 가지를 정리한다.

산술 연산자

수의 덧셈 뺄셈, 문자열, List 자료형에도 사용되는 산술 연산자이다.

연산자 기능 설명
+ 더하기 숫자는 덧셈 수행하고 mutable한 sequence자료형stringslist은 이어붙이기
- 빼기 숫자 형태의 자료형의 뺄샘
* 곱하기 숫자는 곱셈을 수행하고, strings나 list는 배수 만큼 복사 후 이어 붙이기
/ 나누기 숫자 형태의 자료형의 나눗셈 결과
// 몫 나누기 숫자 형태의 자료형의 나눗셈의 몫을 반환
% 나머지 나누기 숫자 형태의 자료형의 나눗셈의 나머지를 반환
** 제곱 x\*\*a일 때 x의 a승 값을 반환

할당 연산자

변수의 값을 할당하는 등호 =와 산술 연산자를 결합해 +=, -=, *= 등과 같이 사용했을 때 자기 자신에 값을 더하거나 빼거나 곱하는 결과 다시 할당한다. 예를 들어 x += 2x = x+2와 동치이다.

비교 연산자

값의 동일함이나 대소 비교를 할 수 있는 연산자를 비교 연산자라고 한다.

연산자 기능
== 값이 같음
!= 값이 다름
> 왼쪽 값이 더 큼
< 오른쪽 값이 더 큼
>= 왼쪽 값이 더 크거나 같음
<= 오른쪽 값이 더 크거나 같음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Boolean 형태로 정리되는 조건문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연산자 기능
and 모두 참이면 True 반환
or 하나라도 참이면 True 반환
not True를 False로, False를 True로 변환

결론

이번 포스팅을 통해 python의 변수, 데이터 타입과 연산자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에 다룬 내용으로 python을 계산기 수준이긴 하나 programming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내용 외에도 다른 자료형List,Tuple,Dictionary과 연산자가 있다. 자료형에 대해서는 이번 시리즈를 통해 다룰 예정이나 연산자에 대한 내용은 이번 시리즈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다른 기회에 깊이 있게 다뤄볼 예정이다.